Spro1 사용기

IT리뷰 2019. 11. 7. 22:17

대륙의 실수라던 UC40으로 입문해서 UC50, 피코 프로젝터를 거치던 중 Spro2라는 기종을 우연히 알게 됐다.

당시 엘지 유플러스에서 독점으로 ZTE Spro2+라는 기종으로 나왔는데 잘 안팔렸는지 막판에 싸게 많이 팔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

그 때 당시도 알고는 있었는데 굳이 필요할까 싶어서 안사고 있다가 프로젝터 기변증이 오면서 몹시 후회했다.

그러던 중 2017년에 BHphoto라는 해외 사이트에서 전작인 Spro1을 무려 67달러에 판매해서 한번 구매했었다.

(오래전에 구매해서 따끈한 정보는 아니지만 더 잊어버리기 전에 정리해 둘겸...)

Spro2가 스펙상으로 당연히 우월하지만 UC40이나 UC50은 비교도 안될 정도로 밝다.

https://youtu.be/6UygJFUoIKg

 

지금은 없는 제품이라 좀 애매하지만 폼블럭 하나에 20cm정도 하니 가로 140CM 55인치로 투사한 영상이다.

480P긴 하지만 영화 볼때 이질감이 그렇게 크지는 않고 애니메이션 같은 종류는 별 차이가 없다. 물론 모니터에 비하면 좀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소리도 미니 프로젝터에 탑재된 스피커들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크고 좋다.

그리고 무엇보다 안드로이드 내장이라 유튜브나 영화같은 것은 다른 선이 필요없이 바로 볼 수 있어서 가장 큰 장점이다.

단점으로는 초점이 자동이 아니고 물리적인 휠이 있어서 휠을 직접 돌려가며 맞춰야된다. 좋아하는 분들도 있을 수 있지만 이 제품의 가장 큰 불량이 바로 이 휠이라는 것에 있다. 해외 후기들도 불량의 대부분이 휠 고장이 잦다는 것이다. 직구 제품이니 AS는 포기해야되기 때문에 혹여나 구하시는 분이 있다면 꼭 휠 부분을 확인하길 바란다.

요약

장점 - 안드로이드 내장

- 배터리 탑재

- 미니 프로젝터 치고 밝은 안시

- 마이크로 SD카드, A형 USB, HDMI 단자 존재

단점 - 사후 지원이 아예 없는 안드로이드(4.4.2 젤리빈 ㄷㄷ)

- 휠 불량 문제

설정

트랙백

댓글

잘 알려져 있는 에뮬레이터와 다르게 안드로이드os를 직접 올려보려고 합니다. 특히 윈도우 태블릿에서 효과가 뛰어납니다.

장점 : 저사양의 윈도우태블릿을 안드로이드os를 올려 훨씬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점 : 파편화가 심해서 각종 종류의 안드로이드 os를 한번씩 설치해가며 본인 pc에 맞는 버전을 찾아내야한다. 또한 게임은 반포기하는게 편하다.

주의) 중요 데이터는 미리 백업을 권함. 또한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도 모르니 설치시 책임은 못짐.

또한 UEFI를 지원해야 설치가 가능함.

1. 설치하고자 하는 PC의 파티션을 분할한다.

볼륨축소를 선택해서 적당히 용량을 줄여준다. (최소 8GB는 분할해줘야함)_

생성된 빈공간을 새 파티션으로 추가해 포맷한다. NTFS로 해도되고 일단 파티션을 주어줘야함.

2. 안드로이드 X86 홈페이지(https://android-x86.org)로 접속해 마음에 드는 버전을 다운로드한다. ISO 형식으로 돼있고 32비트와 64비트 중 고를 수 있다.

3. 8기가 이상의 빈 USB를 연결하고 RUFUS로 부팅 USB를 만든다. (https://rufus.ie/)

주의) USB 포맷됨. 중요파일 백업 필수.

장치란에는 USB드라이브를 선택.

부트선택에는 다운로드 받은 안드로이드 ISO파일을 선택.

이후 시작버튼을 누르고 예를 누르면 USB가 포맷되면서 부팅USB가 만들어진다.

4. 설치하고자 하는 PC의 바이오스로 진입한다. (내 태블릿은 F2번인데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으니 확인바람)

 

4-1. 진입 후 시큐어 부팅을 꺼준다.

4-2. 부팅순서를 삽입한 USB를 1번으로 지정한다.

적용을 누르고 재부팅을 한다.

5. 설치화면에서 미리 나누어 놓은 빈 파티션을 선택한다.

6. 원하는 형식으로 포맷을 해준다. (나는 NTFS로도 잘 작동하는데 기본적으로 ext4로 하라고 함)

이후 나오는 모든 항목을 YES로 선택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윈도우 태블릿이 안드로이드 태블릿으로 변신한 모습이다.

유튜브같이 멀티미디어 용으로 쓰기에 최적인듯 합니다. 거기에 멀티부팅이라 기존 윈도우도 활용이 가능해 좀 더 활용성이 높아졌습니다.

--------------------------삭제방법----------------

설치한 파티션을 포맷한 후 Bootice(https://sites.google.com/site/gbrtools/home/software/bootice-portable/bootice-downloads)를 실행.

메뉴 탭에서 UEFI 선택 -> Edit boot entries 선택 -> 안드로이드 부트란 제거

설정

트랙백

댓글